//Google Adsense

안녕하세요. 사랑초입니다.

저는 경주에 사는 시민이기도 하거니와, 최근 우리나라에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어서

조금이라도 예방할 방법이 없을까 하다가 찾아보았습니다.

사실 그보다는 이번 지진을 보고 국민안전처와 재난문자 대응 수준을 보고 그냥 내가 만들어쓰자 라는 생각으로..


다들 기상청을 못믿으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그래도 기상청 자체만큼은 나쁘지 않게 한다고 생각합니다.
( 세계기상기구의 2014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예보정확도는 EU-영국에 이어 미국과 공동 3위로 평가받으며, 바로아래인 일본보다 높다고 한다. 다만 종합적 능력에 비해 태풍 예측능력은 떨어지는 걸로 집계되었다고 주장한다. - 나무위키 )

이번 경주에서의 두 차례 지진도 기상청에서는 1분 내외로 경보하였습니다.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prevEqkType=a&eqkType=a&eqk=eqk_web_6_201609121945.xml&x=24&y=19)

지진 피해라는게 참 원인이 다양하지만, 그래도 최대한 빠른 경보를 받으면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정보는 된다고 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 대한민국 기상청(KMA)에서는 지진정보서비스를 트위터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twitter.com/KMA_earthquake)

저는 IFTTT를 사용해서 기상청의 지진정보서비스 트윗이 올라오면 

PushBullet 으로 알려주는 레시피를 만들었습니다.

IFTTT 를 간단하게 말하면, 어떤 데이터를 받았을 때 액션을 취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한국어 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IFTTT)


사실은 SMS 나 카카오톡 혹은 텔레그램 알람으로 받고 싶은데 SMS는 한국을 지원하지 않고

카카오톡과 텔레그램은 IFTTT에서 채널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https://ifttt.com/recipes/463327-koreaearthquakealarm

제가 만든 레시피이고 혹시 사용하실 분들은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푸쉬받고 싶으시면 recipe를 직접 만드셔도 됩니다.

어렵지도 않고 채널들도 다양합니다.
 



■ IFTTT 란? 그게 뭐길래? What About IFTTT?




제가 포스팅에서 소개할 내용은 IFTTT 라는 서비스입니다.


IFTTT 란 ifttt.com에서 제공하는 자동 notification 시스템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내가 지정한 A라는 상황이 발생하면 B라는 것을 실행시키는 서비스입니다.


아주 단순하지만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래의 스샷과 같이 다양하게 이용 될 수 있습니다.




이건 제가 만들었던 Recipe 입니다. 


 Taeyeon_ss 의 인스타그램에서 새로운 글이 올라온다면 그 인스타그램 url과 사진을 Dropbox Instagram 폴더안에 자동으로 저장 시키라는 명령이었습니다.



■ 그렇다면 어떻게 어느 정도로 활용할 수 있을까?








SMS는 한국에서 되는 분도 있고 안되는 분도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상당히 아쉽긴 하지만.. 모바일 기기의 OS에 관계없이 모두 완벽하게 지원하는 편입니다. 서로 단방향이 아니라 채널 안에서는 어떠한 것들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합니다.


꼭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내가 좋아하는 가수의 Youtube 채널에 영상이 올라가면 boxcar를 통해서 푸쉬 알람을 받는다던가, 혹은 Facebook에 자동으로 공유 시킬 수도 있습니다.





또 이런 명령들을 만들기 어렵거나 혹은 다른 사람의 Recipe를 함께 공유할 수 있습니다. 혹은 검색할 수도 있구요.



예전부터 내가 좋아하는 것이나 지정해둔 것들을 비서처럼 혹은 실시간으로 알림이 왔으면 했는데 이런 서비스가 정말로 있어서 놀랍기도 하고 상당히 재미있고 유용했습니다.


저 뿐 아니라 IFTTT의 사용자가 늘어가는 만큼 이 포스팅을 보시는 모든 분들이 더 유용하고 똑똑한 21세기 사람이 되시길 바랍니다!




다들 배송대행지 오시는 분이면 아마 속이 타시는 분들 있겠지요? 저도 한 사람입니다. -_;; ㅋㅋ


여튼, 트랙킹 되는 비행기 편은 알고있는데 어떻게 추적할 방법이 없을까?

하시는 분들을 위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배송대행지 사이트 ( 몰테일 등등.. ) 에 접속하셔서 현재 배송대행중인 물건에 대해서 


항공사와 항공편을 알아야 합니다. 


제가 찾는 항공기는 대한한공의 KAL-214 기입니다.




알아 내셨으면, http://ko.flightaware.com/ 에 접속하셔서 항공사를 선택하시고 항공기 편을 적어주시고 조회하시

면 됩니다.



 예를 들어 대한한공이면 Korea 치시면 대한한공이 나옵니다.




 혹시나, 항공사를 제대로 모르고 항공기 번호만 ( Ex KE214 나 OZ297 같은.. ) 아시는 분은


아래 그림의 좌측에 빨간 박스 안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아래는 제가 원하는 트파가 오는 비행기 입니다.  ^_^



■부팅속도를 올릴 수 있는 원리


Windows는 부팅할 때마다 IDE 컨트롤러를 검색하는데
IDE 검색을 최적화시켜 부팅시 딜레이를 제거하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단 , HDD를 장착,탈착하거나 다른 IDE 제품을 연결시에는 다시 설정해주어야합니다.
부품 업그레이드를 거의 안하시는 분들에게 해당됩니다.
또 일부 메인보드에서는 적용이 안될 수도 있으니 돌던지지 마세요 ㅠ


보시기 전에 한번만 눌러주세요!

■ 최적화 시키는 방법


1. 내컴퓨터에 커서를 대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 속성에 들어갑니다.



2.  하드웨어 탭에 들어가서 장치 관리자에 들어갑니다.


3. 아래의 IDE ATA 컨트롤러 부분을 펼칩니다.

- 여기서 건들여 볼 것은 기본 IDE 채널과 보조 IDE 채널입니다.


시스템에 따라 일부는 다를 수 있으나 기본/보조 채널은 똑같이 존재합니다.


4. 기본IDE 채널중 아무거나 선택해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후 속성에 들어갑니다.



5. 상단의 고급설정 탭에 들어가서 장치 0 혹은 장치 1의 장치 유형을 자동감지 > 없음 으로 바꿔주세요.

 - 위에 것만 설정이 되는 것도 있고 아래처럼 아래만 설정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둘다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무조건 장치 유형을 바꿀 수 있는 것은 없음으로 해줍니다.


6. 재부팅시에 줄어든 부팅시간과 지렁이를 감상하며 부팅후 '감사합니다.' 댓글을 남긴다. ( 농담입니다. ^^ )


■ 포스팅 후기



사실 저는 윈도우7을 사용하는데요, 예전에 Parkoz 에서 ( 3년도 더됨.. ) 본 내용을 xp 사용 때 항상 이런식으로 유용하게 사용해

왔던 지라 소개해드립니다. 
윈도우 7 도 될줄 알았는데 윈7은 안되구요.. 아마 Vista 도 안될 것 같아요.
이부분은 저도 잘 몰라서.. ^^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려요. 

몇몇 메인보드에서는 역효과가 날 수도 있으니 백업을 해두시고.. 하드디스크나 CD 롬 등을 자주 바꾸시거나 업그레이드할 시에는 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포스팅 하게된 동기


요즘 많은 분들이 웹하드를 사용하십니다.
웹하드란 간단하게 일정 용량의 저장 공간을 확보해 파일을 관리하고 다수의 사람들과 파일을 공유하는 파일 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편하고 자료또한 방대하며 자신도 공유가 가능해 인기가 많습니다.
물론, 저작권에 위배되는 자료도 많이 돌아다니지만요;; 
여튼 이런 웹하드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컴퓨터가 느려지거나 잘되던 게임이 끊기는 등
컴퓨터가 평상시와 다르게 버벅대던지 뭔가 이상하다면 그리드 컴퓨팅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도 피해를 봤기 때문에 피해를 줄여보고자 포스팅해봅니다.

그리드 컴퓨팅이란 분산 병렬 컴퓨팅의 한 분야로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을 묶어 가상의 대용량 고성능 컴퓨터를 구성하여 고도의 연산(computation intensive jobs) 혹은 대용량 연산(data intensive jobs)을 수행하는 것을 일컫는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를 참조하세요.)

원래 그리드 컴퓨팅은 SETI의 @Home 프로젝트가 대표적으로, 자원을 효율적이고 집약적으로 사용하여
지구촌의 컴퓨터를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웹하드의 경우 이런 그리드 컴퓨팅이 나쁜 경우로 사용됩니다.
약간 격하게 표현하자면, 사용자 컴퓨터의 인터넷 자원이나 성능을 일부 빼내어서
웹하드의 자원으로 사용하겠다는 말입니다.
자신의 컴퓨터가 불법 공유의 근원지가 될 수도 있다는 말이죠;;

 ■그리드 서비스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삭제 혹은 차단시키는 방법 !!

그리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 시키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그리드 서비스 프로그램을 삭제시키는 방법.
2. 그리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못하게 차단시키는 방법.

여기서 그냥 프로그램을 삭제해도 되는데 왜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느냐고 묻는다면..
간혹, 악질의 사이트에서는 그리드 프로그램이 삭제되면 다운로드 프로그램 조차 실행 시키지 못하게 해버리는
나쁜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정상적으로 이용하면서, 그리드 서비스를 컴퓨터에서 차단시키는 방법을 설명드리는 겁니다.

1. 그리드 서비스 프로그램을 삭제시키는 방법

먼저, 그리드 서비스 프로그램은 GDOWNLOAD QUICKDOWNLOAD MicroCloudEngine CloudManager
ExpressService.exe xOcean  등 종류가 제법 됩니다.
웹하드별 그리드 서비스 현황은 아래를 펼치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삭제하는 방법입니다.


자료 출처 :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etc_info&no=13842

1. 먼저 압축 파일을 풀고 Bat 파일을 다른 폴더에 저장해둡니다.



2. 웹하드에서 원하는 자료를 평상시와 같이 다운로드합니다.



3. 압축을 풀고 생성된 AKSUNG 4.7.bat 파일을 실행합니다.



4. CMD창이 열리면서 순차적으로 그리드 프로그램을 삭제합니다.
   모든 그리드가 삭제되면 자동으로 창이 닫힙니다


그리드 서비스 목록에서 사용자 컴퓨터에 깔린 서비스를 찾아서 삭제시킵니다.
저의 컴퓨터는 없어서 저렇게 이름이 잘못 되었다고 뜹니다.
완료되면 알아서 닫힙니다.


■ 그리드 서비스를 차단시키는 방법

이번에는 그리드 서비스 프로그램을 차단시키는 방법입니다.

2가지가 있습니다.

1. 관리도구 - 서비스 이용하는 방법.
2. 권한 설정하는 방법

   ◆ 관리도구 - 서비스 이용하는 방법

1. 제어판 - 관리도구를 들어갑니다. ( 사진은 윈 7 기준 ) 
  - 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저처럼 이렇게 제어판이 안뜨시면 오른쪽 상단의 빨간 체크박스를 누르셔서 큰 아이콘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2. 서비스에 들어갑니다.


3. ExpressService 혹은 위에 제가 나열한 GDOWNLOAD QUICKDOWNLOAD MicroCloudEngine CloudManager
ExpressService.exe xOcean  같은 서비스를 찾습니다.

4. 찾은후 오른쪽마우스 - 속성을 클릭합니다.
 - 그 후 , 사진처럼 사용 안함으로 바꾸어주시면 됩니다.



저는 ExpressService 같은 그리드 서비스를 삭제한 상태라 스크린 샷을 다른 파일로 찍었습니다.
저파일을 사용 안함 하시면 안됩니다.
그냥 하는 방법만 보여드리는 겁니다.

  ◆ 사용 권한 변경으로 차단 시키는 방법

우선 웹하드 프로그램 설치 전 어떤 그리드프로그램이 설치되는지 알아보고나서 
해당 그리드프로그램폴더와 똑같은 이름의 빈 폴더를 만듭니다. 

예시) QuickDown 이라는 그리드 서비스가 실행되는 경우 


1. QuickDownloadService 라는 폴더를 Program files 에 빈폴더로 생성합니다.



2. 그후 만든 폴더를 오른쪽 마우스 클릭후 맨밑의 속성에 들어갑니다.


3. 보안탭->편집->추가->고급에 들어갑니다.


4. 고급에 들어가면 지금찾기를 누른후 EveryOne 을 찾아 더블클릭합니다.


5. 그후 아까 떴었던 사용자 또는 그룹 선택 창에서 확인을 누릅니다.


6. EveryOne의 모든 권한을 차단시킨후 확인을 눌러주면 끝입니다.




웹하드 서비스 이용자가 많아지면 그 웹하드는 서버를 많이 증설해야 되는데 경제적인 이윤을 극대화 하기 위해
서버를 증설하는 대신 사용자 컴퓨터를 그리드로 사용하여 서버 증설량을 줄입니다.
그러는 만큼 사용자의 컴퓨터는 더 혹독하게 고생하고 또 느려지고 버벅댑니다.
혹시라도 웹하드 이용후 느려지거나 인터넷이 많이 버벅댄다면 위와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이런 힘든 엄청난 스샷 포스팅에도 저는 추천 한번이면 웃습니다. 저는 추천을 먹고삽니다.
로그인 필요없이 버튼 한번만 누르시고 창 닫아주세요 ^^; 그럼 다들 즐거운 하루 되시길 기원합니다.


윈도우나 리눅스 같은 OS 는 아무나 컴퓨터를 만지지 못하게 사용자 암호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항상 암호란 것은 양날의 검입니다.
컴퓨터 사용 방지를 위한 차원에서는 좋지만 그 암호를 잊어버리거나, 혹은 누가 임의로 바꾸어 버리거나 
혹은 윈도우 손상으로 인한 로그온 불가능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암호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그 과정이 복잡한 환경인 컴퓨터도 있습니다.
그래서 도와주는게 바로 이 KON-BOOT 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iso 이미지 파일이나 플로피 파일로 배포되어 쉽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단히 시디만 넣으면 암호 무시하고 로그온이 됩니다 ^^

  

■ 테스트된 윈도우 버전

Windows Sever 2008 Standard SP2 (v.275)
Windows Vista Business SP0
Windows Vista Ultimate SP1
Windows Vista Ultimate SP0
Windows Sever 2003 Enterpise
Windows XP
Windows XP SP1
Windows XP SP2
Windows XP SP3
Windows 7

  ■ 테스트된 리눅스 버전

Gentoo 2.6.24-gentoo-r5        GRUB 0.97

Ubuntu 2.6.24.3-debug           GRUB 0.97

Debian 2.6.18-6-6861            GRUB 0.97

Fedora 2.6.25.9-76.fc9.i6862    GRUB 0.97



1.1 버전의 경우 합법적이고 개인적 용도로 사용시 무료로 사용가능한
프리웨어로 배포됩니다. 그 이후 버전은 아래 사이트에서 구매하셔야 합니다.




Iso 이미지는 Nero 나 CDBurnerXP 같은 레코딩 프로그램을 사용하셔서 레코딩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CDBurnerXP 에 대한 포스팅 보기 :                                                                          http://dnsdudwk35.tistory.com/entry/매우-쉽고-복잡하지-않게-인코딩을-하자-CDBurnerXp


아래는 공식 홈페이지의 KON-BOOT 사용장면 Youtube 동영상입니다.




잘 보셨으면 아래에 Daum 뷰 손가락 추천버튼 한번만 눌러주세요 ^^ 로그인 필요없어요~

+ Recent posts